본문 바로가기
책 저장소

만화로 보는 3분 철학_서양 고대 철학_소피스트, 소크라테스

by world-storage 2025. 2. 19.
반응형
소피스트(Sophist)
:B.C.490~485년경 - B.C.445~440년경
:지혜를 팔았던 자들

만화로 보는 3분 철학_서양 고대 철학_피타고라스, 헤라클레이토스, 파르메니데스, 제논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교육자들이며, 상대주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논리적 사고와 수사학을 가르쳤다. 이들은 진리나 도덕적 가치가 절대적이지 않다고 주장하며, 각자의 경험을 중시했다. 소피스트들의 철학은 후에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에게 비판을 받았지만, 그들의 교육 방식과 논리학적 기초는 큰 영향을 미쳤다.

 

소피스트는 '지혜'라는 뜻의 단어이고 소피아Sophi에서 나왔다. 즉, 소피스트는 지혜로운 자를 의미한다.

 

소피스트는 전문적인 지식과 재능을 학문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대신 변론하거나 웅변하는데 사용해서 궤변론자라고 불리기도 했다.

 

당시 말을 잘하는 사람을 최고로 알아주던 시대였다. 아테네 귀족들은 직접민주주의 시대를 열어 자기 주장을 펼쳤다. 말을 잘 하기 위해서 소피스트들을 찾는 이들이 많았다. 

 

상대주의적 사고

소피스트들은 절대적인 진리나 도덕이 존재하지 않다고 믿었다. 그들은 모든 것이 상대적이며, 각 개인의 관점에 따라 진리가 달라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프로타고라스는 "사람은 만물의 척도"라고 하여, 각자의 주관적인 경험이 진리의 기준이 된다고 했다. 즉, 진리나 도덕적 판단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 중심적 사고

소피스트들은 인간의 이성과 수사학적 기술에 큰 가치를 두었다. 그들은 인간의 인식이 세상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그리고 그 이해가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관심을 가졌다. 인간은 이성을 사용해 주어진 상황을 판단하고 행동한다는 관점에서, 소피스트들은 인간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교육과 수사학

소피스트들은 교육을 중요한 가치로 삼았다. 그들은 주로 수사학과 논리학을 가르쳤으며, 이를 통해 사람들에게 설득의 기술을 전수했다. 소피스트들은 정치적인 연설이나 법정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수사학을 배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어떻게 말을 잘 하느냐"가 사회적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봤다.

 

도덕적 상대주의

소피스트들은 도덕적 가치도 상대적이라고 주장했다. 즉, 한 사회에서 도덕적 기준이 다르다면, 그 도덕이 그 사회에서 유효하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헤르메스는 "도덕은 사회의 규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며, 도덕적인 기준이 절대적이지 않음을 강조했다.

 

금전적 보상

소피스트들은 철학적 지식과 교육을 제공하는 대가로 금전적인 보상을 요구했다. 이는 당시 철학자들, 특히 소크라테스와의 큰 차이점 중 하나였다. 소크라테스는 교육을 금전적 대가 없이 했지만, 소피스트들은 교육을 유료로 제공하며, 철학을 상업적인 활동으로 삼았다.

 

소피스트 사상의 영향

소피스트들의 사상은 상대주의적 사고와 사회적, 정치적 논의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그들은 사회의 규범과 도덕적 기준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졌으며, 이 질문들은 이후 철학자들이 윤리학과 정치철학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또한, 소피스트들의 수사학적 기술은 오늘날까지도 설득력 있는 언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교육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소피스트와 소크라테스의 차이
항목 소피스트 소크라테스
진리관 상대주의적, 진리는 사람마다 다름 절대적 진리가 존재하며, 그것을 추구
도덕관 도덕은 사회적, 문화적 규범에 따라 달라 도덕은 절대적인 기준에 따른다
교육 유료로 교육을 제공함
수사학과 논리학을 가르침
무상으로 교육을 제공
질문과 대화를 통한 진리 탐구
목표 사회적 성공을 위한 기술을 가르침 진리와 윤리적 삶을 추구
논리와 방법 설득과 논리적 기술에 집중 대화와 질문을 통한 마르티시즘 방법 (반문법)
진리의 기준 사람마다 다르고 상대적 절대적인 진리와 정의가 존재
지식의 본질 지식은 상대적
사회적 상황에 따라 달라짐
지식은 진리의 탐구
절대적이고 변하지 않
교육의 성격 상업적이며 금전적 보상을 요구 무상 교육, 진리를 위한 탐구
사회의 역할 사회적 규범과 규칙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 이상적인 사회와 정의를 탐구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려 함

 

 

소크라테스(Socrates)
:B.C.470년경 ~ B.C.399년경
자행합입을 주장한 철학자

소크라테스는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서양 철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는 진리, 도덕, 지식에 대해 깊이 탐구했으며, 주로 소크라테스식 문답법을 사용하여 철학적 대화를 이끌었다. 그는 진리를 절대적이고 변하지 않는 것으로 믿었으며, 사람들에게 "너 자신을 알라"는 격언을 통해 자기 인식을 강조했다. 또한, 도덕적 진리가 절대적이고 변하지 않으며, 올바른 행동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나는 내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을 안다"는 말로 자신의 무지를 인정하고 진리를 추구하는 태도를 중요시했다. 소크라테스의 철학은 후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영향을 미쳤고, 현대 철학과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다.

 

태어난 곳

그리스의 아테네

(*아테네 : 페르시아 전쟁의 승리로 그리스 세계를 이끄는 1위 도시)

 

자기 인식과 도덕적 삶 :

"너 자신을 알라"는 격언을 통해 자기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인간은 자신의 본성과 도덕적 기준을 이해하고 그에 맞게 살아야 한다고 믿었다.

 

 

진리와 절대적 가치

진리는 절대적이고 변하지 않으며, 이를 찾기 위한 탐구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도덕적 진리 역시 절대적이며 이를 통해 올바른 행동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크라테스식 문답법

상대방의 의견을 질문을 통해 이끌어내고, 그 과정에서 진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려 했다. 이 방법은 반문법 또는 귀납적 방법이라 불리며, 대화를 통해 진리를 찾으려는 방법론이었다.

 

무지의 지혜

 

나는 내가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을 안다"는 말처럼 자신의 무지를 인정하는 것이 진리에 접근하는 첫걸음이라 생각했다. 지를 인식한 뒤에 진리를 추구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봤다.

 

 

윤리적 덕목

 

도덕적 미덕이 인간의 행동을 이끄는 중요한 기준이라고 믿었다. 그의 철학에서 지혜, 용기, 절제, 정의와 같은 덕목들이 강조되었으며, 이들 덕목을 갖추면 올바른 삶을 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사람의 삶의 목적

인간의 삶은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 성숙과 지혜의 추구에 있다. 그는 사람들이 진리와 도덕적 행동을 통해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다.

 

지식과 덕의 관계

소크라테스는 지식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보았다. 그는 "덕은 지식이다"라고 주장하며, 도덕적으로 올바른 행동은 진리를 아는 것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했다. 즉, 사람은 진리를 알면 반드시 좋은 행동을 하게 된다고 믿었다.

 

무지의 미덕

소크라테스는 무지를 하나의 미덕으로 간주했다. 그는 "무지를 아는 것이 진리에 다가가는 길"이라고 주장하며, 자신의 무지를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통해 인간은 겸손하게 배우려는 자세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지혜로 이어진다고 생각했다.

 

지혜의 추구

소크라테스는 지혜가 인간 존재에서 가장 중요한 덕목이라고 여겼다. 그는 지혜가 사람을 올바른 행동으로 이끈다고 믿었으며, 이를 통해 인간은 정의롭고 도덕적인 삶을 살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