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건축시공기술사 합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저는 문제에 대한 개요를 작성하고 남들이 그리지 않는 그림 혹은 신기술에 대해서 자료를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저도 자료 찾으면서 공부 하면서 합격 할 수 있게 노력 할 것이고 더불어 보시는 분들도 합격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개요
건축시공기술사 슈미트해머에 사용 할 수 있는 신기술공법과 차별화된 그림
Con'c표면을 타격하여 반발계수를 통해 Con'c의 표면경도를 추정하는 비파괴검사이다. 콘크리트 강도추정을 위한 비파괴검사기술은 최근 연구성과가 과거에 비해 활발히 진행되지 않고 있다. 비파괴시험법에 의한 강도추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안전진단 및 유지 관리 등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재료나 구조물의 손상이 없이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내부의 결함 이나 손상 등을 탐지하거나 구조물의 강도를 추정할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콘크리트 배합의 불 균일, 수분의 함유상태, 시공여건 등에 따 라 품질의 변화 개연성이 커서, 콘크리트의 열화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결함과 손상의 원인을 분석하여, 적절한 검사기법을 적용해야 한다.
압축강도 경우 반발경도법과 초음파속도법이 많이 쓰이고 균 열은 표면 경우 육안검사, 내부균열은 레이저 스캔에 의한 자동계측시 스템이 이용되며, 두께검사는 충격공진법, 초음파법, 철근의 위치 측정 은 레이더, 방사선, 전자유도 등이, 공극 내 수분측정은 전위 측정이나 교류 임피던스법 등 매우 다양하게 적용된다.
초음파 검사법 (Ultrasonic Testing)
콘크리트 내부에 초음파를 투과시켜 전파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내부 결함이나 균열, 강도 등을 평가한다. 콘크리트의 내부 상태를 비파괴적으로 파악하는 데 효과적이다.
초음파 검사법 측정은 콘크리트 표층의 품질이 일반적으로는 내부보다 못하다. 콘크리트 강도나 내구성을 평가 하는 상에서 표층의 품질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시험방법은 콘크리트를 균질하다고 가정 하고 있다. 초음파법은 콘크리트 품질을 음속에 의해 가능한 충실하게 평가하고있다.
[투과법에 의한 평균음속과 음속분포]
초음파를 이용해 콘크리트강도나 열화도를 평가하는 경우 투과법을 이용해서 측정거리(두께)에 대해 평균적인 음속으로 평가하고 있다.
[표면주사법에 의한 최소전파경로]
지오레이다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고주파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 배치, 공극, 균열 등을 탐지한다. 최근에는 증강 현실 기술과 결합하여 iPad와 같은 장치를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를 3D로 시각화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2018년 Application으로 GPR Live앱용을 최신 AR기능이 출시되었다. 화면을 통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및 내부에 대한 단층 촬영 타임 슬라이스 및 3D 영상을 보여준다. 그 결과 현장에서 데이터를 획기적으로 간편하게 해석할 수 있도록 측정값에 대한 직관적인 시각화를 얻을 수 있다.
현장 3D, 온보드 AR 및 HAAS(hardware-as-a-service)를 포함한 상용 옵션을 사용함으로써 Proceq GPR Live 제품은 전세계 사용자가 콘크리트 내부를 최상의 선명도로 살펴볼 수 있다. Proceq Live 클라우드의 자동 동기화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인프라 및 건물 자산의 모든 이해 관계자가 액세스할 수 있는 자산 '의료 기록'을 유지할 수 있다.
복합 비파괴 검사법
단일 검사법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여러 비파괴 검사 기법을 결합하여 콘크리트의 강도와 결함을 더욱 정확하게 평가하는 방법이다. 초음파 검사와 지오레이다를 함께 사용하여 데이터를 상호 보완적으로 분석 할 수 있다.
충격반항기법
실험체의 표면에 기계적 충격을 가하면 구형의 파면을 가지고 실험체 내부로 전파되는 체적파(P, S파)와 실린더 형태의 파형을 가지고 실험체 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표면파(R파)가 발생된다. 이때 체적파는 균열, 공동과 같은 불연속체나 이질 매질층간의 경계면을 만나면 반사된다. 응력파가 발생한 표면으로 돌아온다.
표면파기법(SASW method)
구조검사용 스캐너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 정도나 내부 상태를 상세히 파악하기 위해 개발된 장비로, 미세한 결함까지 검출할 수 있다. 이를 구조물의 안전성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터널 복공면을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한 화상에서 프랙탈(fractal) 이론 을 이용하여 균열형상을 수치화할 수 있다. 주행하면서 가시화상과 적외선 화상을 동시에 기록하여 균열을 검출하는 시스템을 검토하고, 휴대용 균열 폭 측정기를 개발해서 다양한 마감면의 균열측정을 간 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 및 콘크리트 표면에 에어캡(air cap)과 흑색 알루미늄박을 붙여서 태양광을 이용하는 수동 온도기록법(passive thermography)의 평가방법을 검토하는 등 5건이 발표 됐었다.
수분측정
콘크리트 속에 센서를 매설해서 건조 및 동결 융해 작용을 일으키는 상대습도와 경시 변화를 측정시 건조균열이 습도구배가 큰 표면 에서 5㎝ 정도 이내에서 발생된다.
경화콘크리트의 단위 수량을 구하기 위해 몰탈(mortar)공시체를 만들 어서 몰탈의 시멘트 양과 단위수량을 구하고 정도관리는 10%로 했다. 어떤 재령에서 물시멘트비 및 압축강도를 추정하는 시험방법을 제안하고 유효 흡수량과 수은 압입에 의한 총 유효세공량으로 측정한 재령과의 관계에서 물시멘트비 및 압축강도 를 추정할 수 있음을 제시하는 등 모두 5건의 발표가 있었다.
온도기록법
능동가열법에 마이크로파와 히터를 채택한 것으로 마이크로파는 공 시체 표면을 40℃까지 가열시켜서 내부결함이나 철근을 탐사하고 깊 이 50㎜까지 검사가 가능하다. 히터는 촬영시간과 가열시간을 임의로 조절하여 탐사 한계를 향상시켰다.
충격탄성파
초음파법과 달라서 접촉매질이 필요 없으므로 비교적 요 철이 많은 콘크리트표면에도 적용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이 있어서 최근 연구와 적용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주로 압축강도의 추정법에 관한 연구, 내부결함이나 손상의 검출방법에 대한 연구, 내부결함 검출 에 관한 이론적 고찰 등 7건이 소개되었다.
'건축시공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시공기술사 커튼월에 사용 할 수 있는 신기술공법과 차별화된 그림 (3) | 2025.01.27 |
---|